관절염의 원인, 증상, 치료의 서양, 한방 비교

關節炎(관절염)의 원인 • 증상 • 치료의 洋,韓方 비교

안정미

관절의 염증성질환, 즉 관절염은 크게 류마티 스성 관절염,골관절염,통풍으로 분류하여 각 각에 대한 원인, 증상, 치료법을 알아보고,각 증상에 상응하는 범주의 한방질환의 원인 및 치료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만성 관절염 중 퇴행성 관절 질환 다음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서 현재까지는 확실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은 전신질환이다. 활액막 에 만성적 비대(hypertrophy) 및 염증반응이 나타나 관절연골과 그 주위조직을 파괴하여 초기에는 관절의 부종과 동통을 초래하나 진행됨에 따라 특징적인 관절변형 및 강직이 유발되고 전신적으로 쇠약해진다. 주로 말초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고 대칭성으로 생기며 , 전신증세는 혈액,폐,신경 및 심혈관계들의 이상을 일으킨다.
1) 원인
아직까지도 원인은 확실히 알아내지 못한 상태이며, 현재 이 병에 대한 많은 가설적인 원인 이 제시되어 감염설 (연쇄 구균, diphtheroid, mycoplasma, 바이러스), 비타민 결핍증, 호르몬의 부조화 등의 설이 있으나 과학적으로 증명할 근거가 불충분하다. 최근에는 면역학적 반응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자가면역설에 의한 알려져 있지 않은 발기인자에 의하여 어떤 종류의 IgG가 생산되고 이 변형된 면역 globulin은 관절, 활막, 세포 및 영역임파절의 임파구를 자극하여 류마티스성 인자는 관절 활액막 의 변형된 IgG와 응집물을 형성하며 이때 補體 Ccomplement)는 이들 응집물 형성에 참여하여 그 양이 감소한다.
2) 임상증상 및 진단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발현 양상은 매우 다양하여 여러 관절이 갑자기 부종동통증 급성 관절염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서 부터 몇개월 또는 몇년에 걸쳐 서서히 관절강직 및 변형이 초래되는 등 차이가 심하다. 관절에 대한 증상 으로는 동통, 관절강직, 부종, 운동제한, 기능 소실 등이 나타나며 그 정도는 국히 경미한 상태에서부터 매우 심한 상태까지 많은 차이가 있다. 관절강직 (ankylosis) 특히 아침에 일어 난 후 30분이 지나도 手部등에 관절강직이 풀어지지 않으면 제일 먼저 이 질환을 의심하여야 하며 이러한 관절강직은 관절자체 보다는 그 주위 근육의 쇠약 및 위축으로 인한 경우도 있으며 사지말단은 혈관염이나 순환장애로 수족냉감이나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타 관절 질환에 비해 관절 침범 이 대칭 적인 것은 매우 특징적 소견이다. 또한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전신무력감이 보이며 모든 일에 의욕이 감퇴되는 현상을 불 수 있다. 한편 관절 이외 인대나 연부조직의 막연한 동통으로 시작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흔히들 신경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치 료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는 일반보존적 치료, 약물치료,수술적 치료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한의학적 원인 및 치료〉

1. 원인
평소에 체력이 허약한데다 굶주리면서 노동을 지나치 게 하였다거나 희노우사의 감정 “쇼크”를 지나치게 받았다거나, 한냉한 음식물을 지나치게 먹었다거나, 혹은 저습한 곳에 오래 거처를 하였다거나, 옥외노숙을 하였다거나,감모, 유행성열병을 앓은 뒤 라든가, 산후 등의 기혈휴손시의 영위의 허한 틈을 타 풍, 한, 습의 사기(邪氣)가 침입하여 경락관절을 침해함으로써 경락수도가 막혀 기혈이 막히게 되고 또다시 그것이 습담악혈로 전변하여 비증, 즉 행비, 통비, 착비가 된다.
2. 치료
가. 약물치료법 : 풍사가 심할때는 거풍을 위주로 하고 한사가 심할 때는 산한을 주로 하고 습사가 위주일 때는 이습을 주로 한다.
소풍활혈탕, 대강활탕, 영선제통음, 공연단, 오약순기산, 계작지모탕, 마황행인탕, 의이인탕 등
나. 침치료법
阿是穴위주로 하되 염증에 주의를 요한다.
〈사암침법〉
다. 물리요법 : 간섭파 / 광선요법/ 초음파 / 초단파/ Paraffin bath / 수치료법
라. 절식요법 및 식이요법

2. 골관절염 (Osteoarthritis)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 질환이라고도 불리며 중년 혹은 노년에 주로 발생되고, 체중부하 관절에 주로 침범하여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관절면의 과잉 골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원발성 골관절염과 이차성 골관절염의 두 가지 형으로 분류된다.
치료법
병리학적인 과정이 노쇠현상에 관계되기 때문에 특이한 치료방법은 없으나 각각의 관절에 따라 국소적인 치료를 함으로써 병적 진행을 감소 또는 전환시키지는 못하지만 지연시킬 수는 있다.

골관절염의 한의학적 원인 및 치료

1 ) 원인
臀主骨 骨生髓 臀氣充盈 하면 骨髓가 충만 하고 골격이 堅强한데, 중년 이후에 肝賢의 기가 약해져서 골, 근,육 등 모든 조직이 날이 갈수록 퇴행성 변화를 한다.
2) 치료법
a . 약물치료법
국부와 전신의 상태를 파악하여 간신을 보하고 관절을 건강하게 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돕는 약물을 사용한다.
b . 針灸치 료법
阿是穴 중심으로 국부 取穴을 주로 하며 온열효과를 줄 수 있는 물리요법과 병행 하면 효과적 이다.
c . 물리 요법

3. 통풍 (Gout)

딘백질인 purine 신진대사의 장애로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이 발생 하고 뇨산 나트륨이 관절이나 관절 주위 및 연부 조직에 침착되어 격심한 발작성 관절통을 야기하는 질환이다. 신장 및 심맥관 등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어 내과적 치료를 요하는 질환이다. 원발성 통풍, 속발성 통풍,특발성 고뇨산혈증으로 분류한다.
1) 원 인
뇨산 결정이 관절에 축적 또는 침착하여 활액막,인대 , 관절면이나 연골하골에 이물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이로 인하여 이차적인 퇴행성 변화가 일어난다.
2) 임상증상
. 급성 통풍은 30~ 50대의 비만한 남 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아무런 유발요인 없이도 생길 수도 있으나 대개는 외상 (장시간 보행), 고지방식의 섭취,수술,추위 및 약물 의 금단 등으로 야기되기도 한다. 동통은 급작스럽고 주로 야간에 심하며 가장 혼히 침범 되는 부위는 제 1 족지의 중족지 관절이다. 발열,관절의 심한 종창이 오기도 한다.
3) 치료법
고요산혈증의 치료로서 뇨산생성을 억제하고 뇨산공급을 제한하며,뇨핵산 분해를 억제 하여 신장에서 뇨산배;설을 증가 시킨다. 또한 백혈구가 뇨산결정을 탐식 못하게 하고 고뇨산 혈증으로 통풍을 야기시키는 요인을 제거하는 데 원칙을 두고 치료한다.

통풍의 한의학적 원인 및 치료

한방에서의 통풍은 역절풍 또는 통비와 같은 뜻으로 지칭되었다. 혼히 얘기되는 전신질환인 서양의학의 통풍 (Gout) 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증상과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1) 원 인
평소 고량진미와 酒肉과다로 인한 것과,또는 風寒濕의 三邪가 체내에 오래 留滞하면서 경락의 생리기능을 저해시킴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또 부유층의 노쇠해짐에 따라서 기혈이 소모되고 營氣가 불리하게 됨으로써 기혈이 부조화상태가 되어, 그 결과로서 기혈이 응결되어 통풍이 발생하게 된다.
2) 치료법
주요목표는 活血과 除濕利水, 除風 그리고 通絡을 위주로 한다. (팔정산/ 월비탕류/ 당귀점통탕 )

東接物理療法學會誌 / Vol. 1 No.l/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