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병의 수기요법

경추병의 수기요법 (頸椎病의 手技療法)

박윤희 • 이명종 • 송용선

최근 중국에서 발행된 여러 문헌을 통하여 퇴행성 경추질환의 개념과 증상 진단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와 함께 특히 시술도 간편하고 치료 효과도 높은 수기요법에 대하여 보고 하는 바이다.

1.유도요법 (誘導手法)

誘導手法: 氣血소통을 촉진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근육을 이완하여 정복 수법이 가능하게 함.
整復手法 : 관절의 부전탈구를 정복함으로써 증상개선
定理手法 : 치료효과를 공고히 하여 재발을 방지함
(1) 搜 法
小魚際 혹은 魚際로 양쪽의 頸筋을 따라 부드럽게 按法을 시행하여 기혈을 운행시키고 혈관을 확장하여 筋肉을 이완시킨다.
(2) 按 法
한손으로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고 다른 손의 지복으로 風池,아문,肩井, 견중수,견외수 등의 국소 경혈을 按歷한다.
(3) 揉 法
한손으로 환자의 頭頂部를 지지하고 다른 손 小魚際로 頸項部를 揉한다. 揉法은 종종 按法 또는 棱法과 동시에 시행되기도 한다.
(4) 推 法
한손의 엄지로 국소 經穴과 阿是穴(應痛點)을 推한다.
(5) 拿 法
양손 또는 한손의 엄지와 다른 네 손가락 으로 경항부 근육을 拿한다.
이상의 手法에서 동작이 비슷한 推法과 按法,揉法과 棱法은 동시에 묶어서 推按法과 揉梭法으로 시행되기도 한다.

2. 정리복수법(整復手法)

整復手法은 경추병의 手技療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 숙련된 기술을 요한다. 施轉復位法이 주로 사용되며 관절의 부전탈구를 정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3. 정리수법(定理手法)

(1) 樓法 : 유도수법 과 동일
(2) 揉法 : 유도수법 과 동일
(3) 拍훈法
頸項部와 肩臂部를 손바닥으로 친다.
(4) 摩法과 擦法
頸項部와 肩臂部를 손바닥 또는 魚除로 摩擦한다.

4. 加減法

交感神經型과 神經根型

경추 질환인 경추병은 임상상 흔하게 있는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 후에 약물 침구치료와 병행 하여 한방물리 요법의 手技療法을 병행하여 치료함으로써 유효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되며 手技療法(카이로프랙틱, 추나요법)의 적극적인 사용을 권하는 바이다.

東醫 物理 療法學會지/ Vol.l No 1, 1991